월 125만원까지 절세가 가능한 노후 연금 재테크, 연금소득 절세 활용 방법
개인연금을 통해 노후를 대비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세금 문제를 간과하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달라진 세법에 따라 연금소득 절세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본 포스팅은 연금 수령액 조정, 수령 시점의 선택, 그리고 퇴직급여 수령 방법에 따라 세금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 글입니다.
연금소득 분리과세 기준 변경: 1,500만 원 이하로 맞추기
2024년부터 연금소득 분리과세 기준이 연간 1,200만 원에서 1,5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이는 연간 1,500만 원 이하로 개인연금을 수령할 경우, 낮은 세율의 연금소득세(3.3~5.5%)를 적용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연금수령액이 1,500만 원을 초과하면 전액이 종합소득 과세(6.6~49.5%) 또는 분리과세(16.5%)로 전환됩니다. 따라서 세금을 최소화하려면 연간 수령액을 1,500만 원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즉, 만 55세 이후에도 계속해서 급여 및 사업소득이 발생하는 경우라면 연금수령 개시시점을 늦춤으로써 절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① 연간 연금수령액 1,400만 원: 소득세율 3.3~5.5% 적용
② 연간 연금수령액 1,600만 원: 전액이 종합과세 또는 분리과세 대상으로 변경
![적용세제](https://blog.kakaocdn.net/dn/bG8DBa/btsLoy4WBEi/Lkly32JRaA7kTyKKDPeC0k/img.webp)
연금수령 시점을 늦춰야 할 때
만 55세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지속하거나 급여·사업소득이 있다면 연금수령을 미루는 것이 절세에 유리합니다. 이는 연령에 따라 소득세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소득세율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55세~59세: 5.5%
② 70세~79세: 4.4%
③ 80세 이상: 3.3%
예를 들어, 60세에 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하면 5.5%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80세 이후로 연기하면 3.3%로 낮아집니다. 종신형 연금도 비슷한 세율 체계를 따릅니다. 장기적인 절세 효과를 위해 연금수령 시점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퇴직급여는 일시금보다 연금으로 받는 것이 유리
퇴직급여를 연금 형태로 받으면 세제 혜택이 더욱 많아집니다. 연간 연금수령한도 이하로 수령할 경우, 퇴직소득세의 30%까지 감면됩니다. 퇴직소득세 감면 혜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첫 10년간: 퇴직소득세의 30% 감면
② 11년 이후: 퇴직소득세의 40% 감면
퇴직급여를 일시금으로 받는 경우에는 이러한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득이한 중도인출 시 주의사항
부득이한 사유로 개인연금을 중도인출해야 하는 경우, 저율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세법상 정해진 조건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요양·의료비 목적으로 인출할 때는 증빙서류를 6개월 이내에 금융기관에 제출해야 합니다. 중도인출이 가능한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천재지변
②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외이주
③ 가입자·부양가족의 3개월 이상 요양 필요
④ 사회적 재난으로 15일 이상 입원치료 필요
⑤ 개인회생 또는 파산선고
⑥ 연금사업자의 영업정지·인가취소·파산
위와 같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인출한도와 서류제출 기간을 확인하고 인출하는 것이 좋으며, 위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도인출 시 높은 세율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통합연금포털: 연금 관리의 시작점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은 본인이 가입한 모든 연금상품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내 연금 조회’ 기능을 통해 적립금액, 연금 개시 예정일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연금수령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마치며
연금소득은 단순한 수입이 아니라, 세법과 전략이 결합된 재정계획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연간 수령액을 적절히 조정하고, 수령 시점을 신중히 선택하며, 퇴직급여를 연금 형태로 전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세금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통합연금포털과 같은 공신력 있는 도구를 활용해 자신의 연금 상태를 점검하는 습관을 기르면, 더욱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주택연금 120% 활용하여 안정된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 주택연금 노후 가이드
주택연금은 은퇴 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유용한 재정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택연금을 120%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주택연금의 기본적인 이해부터 최대한의 혜택을 얻기
healthss.tistory.com
농지연금 가입조건과 대상, 연금 수령액 계산방법과 조회 방법 총정리
농지연금은 노업인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방법으로, 농업인들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형식으로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농업인들은 국민연금으로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할
healthss.tistory.com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보험료 지원 신청 및 해지, 실업급여 기간 75% 금액지원(최대한도 63,000원)
국민연금을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한 방법으로 실업크레딧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업크레딧은 실업기간 중에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가 어려운 분들에게 보험료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healthss.tistory.com
'기타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연금 신청 전, 주택연금 계산기로 수령액 미리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0) | 2024.12.29 |
---|---|
25년 달라지는 건강보험료 조정정산제도, 이자와 배당, 연금소득까지 정산 대상 (0) | 2024.12.25 |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료: 소득점수와 재산점수 산정기준 및 계산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4.12.20 |
농지연금 가입조건과 대상, 연금 수령액 계산방법과 조회 방법 총정리 (1) | 2024.12.11 |
노후준비 자금 20대, 늦어도 30대엔 시작하세요. 늦을수록 노후가 힘들어 집니다. (3) | 2024.12.03 |
댓글